• 천성산
    • 천성산의 친구들
    • 천성산의 4계
    • 천성산의 지형 지도
    • 천성품의 사찰과 문화
  • 산길, 물길을 걷다
    • 평화의 발걸음
    • 생태조사 일지
    • 답사 행사일지
    • 물길 여행
  • 천성, 생명의 숲
    • 천성산의 생태
    • 보호종 현황
    • 생태에세이
  • 천성의 아픔과 복원
    • 원효습지복원(4 & 9 Restore)
    • 원효봉 복원 과정
    • 화엄습지의 현황과 과제
    • 비로봉 임도 복원과정
    • 태풍 차바, 수해복구 과정과 노전암의 불법행위
  • 지대방
    • 이야기 나눔방
    • 공지
    • 제보와 민원
    • 법령 모음
새벽등천성산의친구들
  • 천성산
    • 천성산의 친구들
    • 천성산의 4계
    • 천성산의 지형 지도
    • 천성품의 사찰과 문화
  • 산길, 물길을 걷다
    • 평화의 발걸음
    • 생태조사 일지
    • 답사 행사일지
    • 물길 여행
  • 천성, 생명의 숲
    • 천성산의 생태
    • 보호종 현황
    • 생태에세이
  • 천성의 아픔과 복원
    • 원효습지복원(4 & 9 Restore)
    • 원효봉 복원 과정
    • 화엄습지의 현황과 과제
    • 비로봉 임도 복원과정
    • 태풍 차바, 수해복구 과정과 노전암의 불법행위
  • 지대방
    • 이야기 나눔방
    • 공지
    • 제보와 민원
    • 법령 모음

포유류

  • 포유류의 배설물
    복원이 진행중인 원효습지 안쪽으로  삵, 혹은 담비로 보이는 포유류의 배설물이 많이 발견됩니다.  배설물로 보면 원효습지 주변이 주 활동영역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 쥐나 토끼를 잡아먹은 흔적이 역력합니다.  생태계의 사슬속에서 상위 포식자가 많다는 건 반가운 일이면서도 염려되는 일입니다.  
    chorok
    Vote 1
  • 너구리
    개과로 개와 같이 잡식성, 배설물을 보면 열매나 쥐 등을 잡아먹은 흔적이 많다.  움직임이 느리고 응큼함의 상징인 동물로 사람이 가까이 가면 죽은척 한다고?   겨울잠은 잔다고 한다. 천성산 전역에 배설물과 너구리굴이 발견되지만 야행성이라 좀체로 눈에 띄지 않는다. 너구리배설물  너구리굴
    chorok
    Vote 1
  • 다람쥐
    산골짜기 다람쥐 아기 다람쥐 ^^ 도토리가 주식이지만 쥐와 같이 잡식성 설치류이다.
    chorok
    Vote 1
  • 두더지
    두더지과의 포유류 , 습지 주변에는 유난히 두더지길이 많다 .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어 관심 대상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chorok
    Vote 2
  • 야생토끼
    토끼를 만나는 일이 드믈어진 것을 생각한다.  개발로 인한 서식처 단절, 먹이사슬의 붕괴, 밀렵 등  원인 제공자는 사람이다.  동화책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토끼를 이제 우리 아이들은 어디서 만날 수 이을까? 동물원? 토끼똥 조차 귀해지는 시절을 우리는 살고 있다.
    chorok
    Vote 2
  • 담비
    호랑이와 늑대, 여우가 사라져 버린 한국의 숲에서 담비는 최상위 포식자다.  잡식동물이기에 배설물속에 씨앗이 섞여있어 삵과 구별된다.
    chorok
    Vote 2
  • 청살모
    한국 특산종이지만 외래종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청설모, 청모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청모붓이 대중적으로 쓰였다고 한다.  나무타기를 조아하고 먹이는 나무 열매인 잣, 호두 등.... 
    chorok
    Vote 2
  • 삵
    살쾡이 서식반경 : 천성산 전역, 개체수는 조사된 바 없으나 천성산 전역에서 배설물이 발견된다.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포유류 2급 보호종 조선 시대의 민화나 그림에도 곧잘 출연했던 동물이기도 하다.
    chorok
    Vote 2
  • 노루
    새벽 어스름길에 물먹으러 냇가로 내려온 노루,  고라니와 비슷하지만 남획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어린싹·잎·열매 등 초식,  9-11월 사이에 교미 해서 5-6월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chorok
    Vote 2
  • 1
Powered by KBoard
  • 천성산의 4계
  • 보호종 현황
  • 뿌리와 숲
  • 조류
  • 식생, 야생화
  • 양서 파충류
  • 포유류
  • 나비류
  • 어류
  • 곤충류
  • 생태에세이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천성산

우리가 쓰는 천성산의 역사

천성산의 역사를 쓸 자료와 기록물을 모으고 있습니다. 소장하고 계신 소중한 자료를 기증해 주세요. 보내실 곳
  • 연락처 TEL. 055-374-6466  FAX.055-374-6465
  • 이메일주소 cheonseong@hanmail.net
  • Give Us a Call 천성산의친구들 :010-8670-3156

    게시판 최신글

    제목 작성일
    문지기를 세웠습니다.
    2020.01.01
    또박또박 쓴다
    2020.01.01
    현대사회를 향한 불교의 생태적 응답
    2019.08.25
    6월의 생태조사일지
    2019.08.20
    산을 깍아 만든 밤무대?
    2019.06.01
    푸른산이 항상 걸어다니는
    2019.06.01

    이웃하기

    aa14
    aa3 aa12 aa17
    aa3 aa11 aa19

    © 2025 - Wordpress Theme by Kadence Themes